인터넷 검색과 모바일 OS에서 전세계 1위를 지키고 있는 구글과 글로벌 SNS 부동의 1위 페이스북이 최근 인터넷 서비스 보급에 무척 애를 쓰고 있습니다. 전세계 어디서나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앞다투어 많은 투자를 하며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는 것이죠. 이들은 어떤 방법으로 인터넷을 보급시키고 있을까요?
구글 파이버 (Google Fiber)
구글은 지난 2012년부터 미국 캔사스 시티(Kansas City)를 시작으로 "구글 파이버(Google Fiber)"라는 초고속 인터넷을 구축해 왔습니다. 구글 파이버는 광케이블을 이용해 각 가정에 속도가 1Gbps나 되는 기가비트 인터넷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일반적인 미국의 인터넷 속도보다 100배 이상 빠른 속도를 제공합니다.
구글 파이버는 현재 캔사스시티를 비롯, 유타주 프로보(Provo) 일부 지역에서 시범 서비스중이고, 텍사스 오스틴(Austin)에서는 올해안에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그밖에 9개 지역 31개시가 구글 파이버 서비스 대상 도시로 선정되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고 하네요.
구글 파이버가 제공하는 기가 인터넷은 인터넷 속도가 빠르기로 알려진 국내에도 아직 서비스 지역이 많지 않을 정도로 혁신적인 서비스입니다. 때문에 인터넷 평균 속도가 5.8Mbps에 불과한 미국에서는 구글 파이버 소식이 알려지자 전국 1000여개 도시에서 구글 파이버 대상 지역으로 선정되기 위해 신청을 할 정도였다고 하는군요.
구글 파이버는 설치비 없이 월 70달러에 기가비트 인터넷과 1TB 용량의 구글 드라이브가 제공됩니다. 구글 파이버와 함께 50달러를 더 내면 수백개의 채널을 가진 구글 파이버 TV 패키지도 있는데 넥서스7이 리모컨 용으로 제공되고 8개 프로그램을 동시에 녹화할 수 있는 DVR 스토리지 박스도 제공되죠. 또한, 300달러의 설치비만 내면 5Mbs 속도의 기본적인 인터넷 서비스를 무료로 최소 7년동안 사용할 수 있는 Free Internet 패키지도 있습니다.
구글이 구글 파이버를 서비스하는 목적은 더 빠른 인터넷을 제공해 구글 서비스를 더 많이 사용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구글이 판매하는 광고를 더 많이 클릭하게 하는 것이죠. 인기가 높아지면 구글 파이버와 구글 파이버 TV 서비스를 점점 확대해 새로운 비즈니스를 할 수도 있고 규모있는 네트워크 사업을 벌일수도 있을듯 합니다.
구글 파이버 서비스 지역이 늘어나면 각종 네트워크 장비와 넥서스7 태블릿 보급이 늘어나게 됩니다. 이를 통해 구글 서비스 사용자도 늘어나게 되므로 구글 파이버같은 네트워크 서비스는 구글의 새로운 비지니스 모델의 기초가 될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구글 프로젝트 룬 (Project Loon)
구글의 인터넷 확대를 위한 노력은 이뿐 아닙니다. 구글 파이버가 도심 지역의 인터넷 개선 프로젝트라면 초고속 인터넷망을 설치하기 힘든 외딴 지역을 위한 "룬 프로젝트(Loon Project)"도 있습니다. 룬 프로젝트는 무선 공유기 역할을 하는 대형 풍선을 띄워 인터넷망 설치가 어려운 지역에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계획이죠.
룬 프로젝트는 지난 2013년 6월에 뉴질랜드에서 테스트를 시작했고 올해는 지구의 남위 40도를 빙 둘러싸는 지역에 수많은 풍선을 띄워 끊김없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
구글은 전세계를 인터넷으로 연결하면 오지에서도 원격 교육, 원격 진료 서비스를 받을수 있고 농부들은 인터넷을 통해 날씨 정보를 이용해 보다 많은 수확을 거둘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가로 15미터, 세로 20미터에 이르는 풍선에 헬륨가스를 채워 20km 상공에 띄우면 40km 반경에 3G 속도의 인터넷을 제공할 수 있게 되죠. 풍선 아래쪽에는 와이파이 모뎀과 통신 장비, 각종 센서, 태양열 배터리 및 집열판 등이 달리게 됩니다.
프로젝트 룬의 지상 인터넷 수신 안테나
수많은 풍선이 떠다니며 지상에 있는 각 가정의 통신장비와 송수신을 하며 인터넷을 제공하는데 대기의 이동으로 풍선이 이동하면 그 자리를 다른 풍선이 채우는 방식으로 지속적인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죠.
프로젝트 룬은 지난 4월 구글이 인수한 태양광 드론 업체 "타이탄 에어로 스페이스"를 통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프로젝트 룬의 인터넷 보급을 위한 풍선에 타이탄 에어로 스페이스의 항공 기술과 태양열 기술을 접목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인터넷 보급이 가능할 것이기 때문이죠.
인공위성을 통한 인터넷 보급
구글은 인터넷 보급을 위해 인공위성까지 이용할 계획입니다. 구글은 인공위성 회사 "O3b"의 창업자 그렉 와일러를 프로젝트 책임자로 영입했고 소형 인공위성 수백기를 쏘아 올려 인터넷 사용이 어려운 오지에 인터넷을 보급하겠다는 프로젝트를 진행중이라고 하는군요.
이 프로젝트는 113Kg 이하의 작은 인공위성을 이용할 것이라고 하는데, 기존 위성보다 낮은 고도에 소형 위성 180여개를 띄운다고 합니다. 구글은 이 프로젝트를 위해 최소 1조원 이상의 자금을 쏟아 부을 것이라고 하는군요. 상황에 따라서는 3조원 까지도 자금이 투입될 수 있다고 하는데 전세계에 인터넷을 보급하기 위한 구글의 집념이 정말 대단한 것 같습니다.
구글은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인터넷 사용 지역을 대폭 넓힐 수 있게 되었고 구글 서비스 이용자 확대에도 커다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구글 서비스 이용자가 늘어나게 되면 그만큼 광고 수익도 늘어날 수 있기 때문에 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동원해 인터넷을 보급하는 것이 구글의 네트워크 전략이죠.
페이스북 Internet.org 프로젝트
페이스북은 지난해 8월 인터넷 접속이 어려운 아시아와 아프리카에 인터넷을 보급하는 Internet.org 프로젝트를 시작한다고 선언했습니다. 이 프로젝트에는 삼성전자, 노키아, 오페라, 퀄컴 등 많은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죠.
페이스북은 구글 못지 않게 인터넷 확산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Internet.org는 전 세계의 테크놀로지 리더, 비영리 기관, 지역 커뮤니티 및 전문가들이 연합해 인터넷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전 세계 2/3에 달하는 사람들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젝트로 시작되었죠.
페이스북이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유 역시 구글과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저개발 국가에 인터넷 망을 제공하고 이들에게 자신의 서비스를 사용하도록 해 새로운 고객층을 확보하기 위해 internet.org 프로젝트를 시작한 것이죠.
페이스북 역시 구글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광고를 통해 수익을 내고 있기 때문에 페이스북 사용자가 늘어날수록 광고 수익이 역시 증가합니다. 아시아와 아프리카 지역에는 인터넷을 접하기 어려운 사람들이 아직도 수십명이나 있기 때문에 이들을 자신의 고객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인터넷을 자신들이 직접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 것입니다.
이를 위해 페이스북은 올초 "타이탄 에어로 스페이스"를 인수하기로 하고 먼저 교섭을 시작했으나 구글의 강력한 배팅으로 인수에 실패하고 대신 영국의 태양열 무인 항공기 개발업체 어센타 (Ascenta)를 인수했습니다.
페이스북은 어센타의 연구 인력과 미항공우주국 (NASA)로부터 초빙한 인력을 주축으로 연결성 연구소 (Connectivity Lab)도 설립했습니다. 이 연구소는 Internet.org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설립되었는데 무인 항공기 및 위성, 레이저 등 각종 첨단 기술을 이용해 인터넷 속도를 향상시키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고 하는군요.
인터넷을 제공하는 방법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시 외곽 지역은 태양열을 이용한 무인 비행체를 이용하고 인구가 적은 지역은 저궤도 정지 위성을 이용할 것이라고 하는군요.
페이스북은 기존에도 개발도상국에 인터넷을 보급하기 위해10억 달러를 투자해 왔고 필리핀과 파라과이에서는 약 3백만명의 사람들에게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도 했습니다.
구글과 페이스북이 인터넷 보급에 힘쓰는 이유
구글과 페이스북이 인터넷 확대에 힘쓰는 이유는 더 많은 사람들이 인터넷을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자신들의 서비스를 더욱 많이 사용하길 바라기 때문입니다.
구글은 전세계 최대 인터넷 서비스 기업이며 동시에 최대의 모바일 서비스 기업입니다. 페이스북 역시 전세계 최대의 SNS 서비스 기업이죠. 구글과 페이스북 서비스는 대부분 무료로 제공되고 있지만 대신 광고 수익의 기반이 되는 사용자 정보를 얻을수 있습니다. 행동 습관과 성향, 라이프 스타일 등의 사용자 정보는 광고에 이용되어 수익을 창출하게 되는데 사용자 수가 많아질수록 광고 수익도 늘어나게 되죠.
때문에 구글과 페이스북은 지금보다 더 많은 사용자를 만들어 더 많은 수익을 올리고 지속적인 성장을 하기 위해 자신들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인터넷 보급에 투자를 하는 것입니다. 전세계 80억 인구 모두가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 사용을 하도록 하는 것이 이들의 궁극적인 목표인 셈이지요.
사실 대형 풍선이나 드론, 인공위성을 띄워 인터넷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은 수많은 어려움과 싸워야 하는 힘든 일입니다. 하지만 어려움을 극복하고 전세계 구석구석에 인터넷을 제공함으로써 전세계 인구 2/3에 해당하는 새로운 고객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죠.
아직까지 인터넷을 접하지 못한 이들 수십억명의 가치는 최소 수백억 달러의 이를 것으로 추산됩니다. 이들을 차지하기 위한 구글과 페이스북의 인터넷 보급 경쟁이 어떤 방법으로 어떻게 전개될지 지켜보는 것도 매우 흥미로운 일이 아닐까 생각되는군요.
이 포스팅은 삼성 SDI 블로그, SDI 이야기에 기고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