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에서 자신이 있는 곳 주변에 위치한 지역 업체 검색 (local business search) 기능을 업그레이드 했습니다. 아주 편리하게 사용할수 있는 기능이더군요. 예를 들어 제가 서울에 살고 있어 서울에 있는 스타벅스 커피샵의 위치를 찾으려면 예전에는 검색창에 "스타벅스 서울" 이런식으로 검색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구글코리아 검색창에 "스타벅스"라고만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서울시에 있는 스타벅스샵의 위치와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검색해 줍니다. 구글에 의하면 이 기능은 사용자의 IP주소를 파악해 IP주소와 매칭된 지역에 있는 업체 정보를 알려주는 것이라고 합니다. 검색 결과에 나와 있는 위치변경을 클릭해 위치를 바꿔주면 다른곳의 업체도 검색할수 있습니다.
또 자신이 미국 워싱턴 DC에 있다고 가정하고 google.com에 접속해서 검색창에 Starbucks를 입력한뒤 검색을 하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위 그림에서 보듯이 스타벅스 커피샵의 위치가 구글맵에 나타나면서 역시 전화번호도 검색되어 나타납니다. 여기까지는 구글코리아 검색결과와 같지만 구글코리아에는 없는 지도가 나타나는군요. 구글코리아에도 곧 지도가 나타나겠죠. 지도위에 있는 "Local business results for starbucks near Washington, DC"나 검색 결과 아래에 있는 "More results near Washington, DC" 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바로 구글맵이지요. 구글맵에 내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에 있는 스타벅스 커피샵의 위치 및 관련정보가 자세하게 나와 있습니다.
앞서 구글코리아에서 검색한 스타벅스 검색 결과를 다시 보면 검색결과에 "서울특별시 부근의 스타벅스에 대한 지역 업체 검색결과"라는 링크가 나옵니다. 여기를 누르거나 검색결과 아래에 있는 "서울특별시 부근의 검색결과 더보기" 라는 링크를 누르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그런데, google.com과 구글코리아 검색결과를 "더보기(more result)"해보니 공통점이 발견됩니다. 눈썰미 있는 사람들은 벌써 눈치채고 알아차렸겠지만 둘다 검색창에 "loc:"라는 검색 연산자가 들어 있습니다. 이 연산자가 검색결과에 검색지역을 지정해 주는 것 같습니다. 사용법은 이미 검색결과에 나와 있듯이 아래와 같이 정리되겠습니다.
"길찾기" 아래에 검색결과 좁히기 라고 나오며 옆에 "거리"라는 링크가 나옵니다. 여기를 눌러주면 또다시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각각의 링크를 누르면 명동에서 각각 지정해준 반경내에 있는 스타벅스의 위치 정보를 지도와 함께 더욱 자세하게 알수 있습니다. 각 링크별 검색 결과는 직접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구글검색이 사용자의 IP주소를 자동으로 파악하기는 하지만 광대역(borad geographical location)까지만 자동으로 파악이 되고 더 좁은 구역으로 검색하려면 지역명을 자세하게 입력하거나 위에 알려드린 검색결과 좁히기 방법을 써야 합니다. 대부분 default 지역검색 단위는 시 단위로 되어 있는것 같습니다. 앞으로 이 기능이 더 강화되어 시단위보다 더 좁아져 더욱 정밀한 검색이 되면 더욱 편리하게 구글 검색을 사용할수 있겠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물론 이 경우에 발생할수 있는 프라이버시 문제는 논외로 치고 말입니다.
* 이 포스트는 blogkorea [블코채널 : 웹, 컴퓨터, it에 관련된 유용한 정보 및 소식] 에 링크 되어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구글코리아 검색창에 "스타벅스"라고만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서울시에 있는 스타벅스샵의 위치와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검색해 줍니다. 구글에 의하면 이 기능은 사용자의 IP주소를 파악해 IP주소와 매칭된 지역에 있는 업체 정보를 알려주는 것이라고 합니다. 검색 결과에 나와 있는 위치변경을 클릭해 위치를 바꿔주면 다른곳의 업체도 검색할수 있습니다.
또 자신이 미국 워싱턴 DC에 있다고 가정하고 google.com에 접속해서 검색창에 Starbucks를 입력한뒤 검색을 하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위 그림에서 보듯이 스타벅스 커피샵의 위치가 구글맵에 나타나면서 역시 전화번호도 검색되어 나타납니다. 여기까지는 구글코리아 검색결과와 같지만 구글코리아에는 없는 지도가 나타나는군요. 구글코리아에도 곧 지도가 나타나겠죠. 지도위에 있는 "Local business results for starbucks near Washington, DC"나 검색 결과 아래에 있는 "More results near Washington, DC" 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바로 구글맵이지요. 구글맵에 내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에 있는 스타벅스 커피샵의 위치 및 관련정보가 자세하게 나와 있습니다.
앞서 구글코리아에서 검색한 스타벅스 검색 결과를 다시 보면 검색결과에 "서울특별시 부근의 스타벅스에 대한 지역 업체 검색결과"라는 링크가 나옵니다. 여기를 누르거나 검색결과 아래에 있는 "서울특별시 부근의 검색결과 더보기" 라는 링크를 누르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그런데, google.com과 구글코리아 검색결과를 "더보기(more result)"해보니 공통점이 발견됩니다. 눈썰미 있는 사람들은 벌써 눈치채고 알아차렸겠지만 둘다 검색창에 "loc:"라는 검색 연산자가 들어 있습니다. 이 연산자가 검색결과에 검색지역을 지정해 주는 것 같습니다. 사용법은 이미 검색결과에 나와 있듯이 아래와 같이 정리되겠습니다.
- starbucks loc: Washington
- 스타벅스 loc: 서울특별시
"길찾기" 아래에 검색결과 좁히기 라고 나오며 옆에 "거리"라는 링크가 나옵니다. 여기를 눌러주면 또다시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각각의 링크를 누르면 명동에서 각각 지정해준 반경내에 있는 스타벅스의 위치 정보를 지도와 함께 더욱 자세하게 알수 있습니다. 각 링크별 검색 결과는 직접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구글검색이 사용자의 IP주소를 자동으로 파악하기는 하지만 광대역(borad geographical location)까지만 자동으로 파악이 되고 더 좁은 구역으로 검색하려면 지역명을 자세하게 입력하거나 위에 알려드린 검색결과 좁히기 방법을 써야 합니다. 대부분 default 지역검색 단위는 시 단위로 되어 있는것 같습니다. 앞으로 이 기능이 더 강화되어 시단위보다 더 좁아져 더욱 정밀한 검색이 되면 더욱 편리하게 구글 검색을 사용할수 있겠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물론 이 경우에 발생할수 있는 프라이버시 문제는 논외로 치고 말입니다.
* 이 포스트는 blogkorea [블코채널 : 웹, 컴퓨터, it에 관련된 유용한 정보 및 소식] 에 링크 되어있습니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활절 이스터에그 모음 (0) | 2009.04.12 |
---|---|
IE8 오토 업데이트 실시, 오토 업데이트 하지 않는 방법은? (0) | 2009.04.12 |
앱스토어 대박 개발자를 기원하며 (3) | 2009.04.09 |
휴대폰에서 MP3를 자유롭게 듣게 되기를... (6) | 2009.04.08 |
점점 커지는 넷북 시장, 크기와 성능도 키워야 (2) | 2009.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