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sistemnet.com.tr; 2)hostfresh.com; 3) google.com; 4) vsnlinternational.com; 5) gilat.net;6) cnuninet.com; 7) uatelecom.co.ua; 8) sprint.net; 9) verizon.com; 10)simplenet.com.
스팸하우스에 따르면 ISP들이 스팸을 근절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스패머들에게 서비스를 판매는 동시에 스팸에 대한 취약점을 보완하는데 비용이 많이 든다는 이유로 노력을 게을리하고 있다고 하는군요. 대부분의 세계적인 ISP들은 자신들의 네트워크내에서 스패머들을 근절시키는데는 성공했지만 ISP회사의 관리부족과 비용절감의 욕심때문에 매일 조금씩 소수의 네트워크들이 서서히 약화되어 가서 문제의소지가 있다고 합니다. 캘리포니아 세너제이의 한 웹 호스팅 회사가 스팸의 온상이었는데, 지난해 11월 허리케인 때문에 인터넷 서비스 라인을 망가지자 스팸건수가 절반 정도로 줄어들었다고 합니다.
스팸은 인터넷을 사용하는 한 계속 문제로 남을수 밖에 없을것 같습니다. 구글 계정 사용자들이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위반사항이 발견되면 해당 계정을 구글이 없애버리기도 한다고 구글 관계자가 이야기했지만 구글 계정을 다시 만드는 것은 아주 쉽고 게다가 무료로 만들수 있기 때문데 구글 서비스를 이용한 스팸은 쉽게 사라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나라도 올해부터 일정규모이상의 인터넷 서비스에 가입할때 주민등록번호를 요구할수 없도록 했는데 개인의 사적인 정보는 보호되지만 스패머들이 늘어날 수 있는 환경도 동시에 조성되는 셈입니다. 따라서,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인 ISP들은 단순히 더 많은 사용자를 유치하려고만 할것이 아니라, 이런 스팸이 근절될수 있도록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더 많은 주의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입니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양광으로 충전하는 환경 친화적 블루투스 헤드셋 (3) | 2009.01.09 |
---|---|
소니 신제품 VAIO P 과연 명불허전의 디자인 (2) | 2009.01.09 |
아수스 윈도우7, SSD 512GB 장착한 넷북 (S121)출시 (2) | 2009.01.08 |
애플 맥월드 엑스포 2009 (0) | 2009.01.07 |
댓글을 추적해 주는 서비스 - YackTrack (0) | 2009.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