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햅틱온에는 여러가지 위젯이 있습니다. 간단한 달력부터 지하철 노선도, 구글 위젯도 있구요. 구글 위젯을 이용하면 모바일 웹서핑으로 화면이 바뀌고 웹서핑 화면은 휴대폰을 들고 있는 방향에 따라 가로, 세로로 자유롭게 출력된다고 합니다.
햅틱온은 위젯과는 별도로 '오즈 라이트'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고 합니다. '오즈 라이트'는 LG텔레콤에서 지원하는 풀브라우징 관련 서비스로 네이버, 야후를 비롯한 국내 주요 포털과 G마켓, CGV 등의 주요 서비스를 제공하고, 각종 콘텐츠 제공업체(CP)와 무료로 제공하는 서비스 외에 모바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블로그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하네요. 그리고, 전화번호로 웹사이트 접속이 가능한 'WINC' 서비스가 별도로 구분되어 있다고 합니다.
등록돼 있는 WINC 사이트 전부를 가나다 순으로 정리해 놓았으며 정보 요금이 없는 무료 서비스인 G마켓, GS홈쇼핑 등의 쇼핑 채널과 UCC, TV편성표, CGV의 실시간 영화예매 등도 별도로 모아놓았다고 합니다. 이 서비스들은 풀브라우징이 아닌 모바일 전용 웹 페이지를 출력해 주고 가로 화면에서는 이용할 수 없다고 하네요. 또 다른 재미있는 기능은 웃는 얼굴만을 촬영해주는 '스마일 샷' 기능과 고가의 카메라에서 지원하던 파노라마 기능, 명함을 인식해 주소록에 입력해 주는 '명함인식' 기능들입니다.
이상 아이뉴스에 나온 햅틱온의 여러가지 기능들을 살펴보니 훌륭한 기능들이 많아 스마트폰으로 생각할수 있지만 햅틱온은 스마트폰은 아닙니다. 인터넷 풀브라우징을 지원하긴 하지만 햅틱온이 스마트폰이 아닌 이유는 스마트폰의 특징인 운영체제가 없기 때문입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개발자들이 추가로 외부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수 있는 표준화된 인터페이스와 플랫폼을 갖추고 있어야 하는데 햅틱온은 그런것들이 없고 이메일과 인터넷을 사용할때 필요한 키보드도 지원되지 않습니다. 스마트폰으로 분류되는 아이폰도 전화기 자체의 키보드는 없지만 온스크린 터치 키보드는 있습니다. 그래서, 오즈 전용폰들은 풀터치스크린폰, 터치웹폰, 풀브라우징폰등으로 불리지만 스마트폰이라고는 하지 않습니다. 아래는 위키피디어에 나오는 스마트폰에 대한 설명입니다.
A smartphone is a mobile phone offering advanced capabilities beyond a typical mobile phone, often with PC-like functionality. There is no industry standard definition of a smartphone.[1][2] For some, a smartphone is a phone that runs complete operating system software providing a standardized interface and platform for application developers.[3][4] For others, a smartphone is simply a phone with advanced features like e-mail and Internet capabilities, and/or a full keyboard.[5][6]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SA 우주 인터넷 실험 성공 (3) | 2008.11.24 |
---|---|
360 Cities by 구글 어스 (3) | 2008.11.24 |
10억회를 돌파한 모질라 애드온 다운로드 (5) | 2008.11.22 |
파란 약도 서비스 (3) | 2008.11.22 |
인텔과 ARM의 모바일 컴퓨팅 두뇌 싸움 (0) | 2008.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