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구글 크롬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중 하나가 RSS를 지원하지 않는것이었는데 이제 구글 크롬에서도 RSS 피드를 확인하고 구독할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구글 크롬이 갑자기 업데이트 한것은 아니고 북마크를 이용한 RSS 확인 방법으로 일종의 트릭입니다. 구글 크롬을 메인 브라우저로 사용하시는 분들이 알아두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하지만, 한국에서 많이 사용하는 HanRSS등은 아직 지원하지 않고 Google 리더 - Pageflakes - My Yahoo! - Netvibes등 네가지 많이 사용하는 RSS리더만 지원합니다.
우선 구글 크롬을 실행시키고 http://www.feeds.ramisp.org에 접속합니다. 그러면 두가지 메뉴가 나오는데
그중에서 아래와 같이 오른쪽 Auto-Detect RSS를 드래그해서 크롬의 북마크 툴바에 옮겨 놓으면 버튼이 하나 생깁니다. RSS피드를 제공하는 사이트에서 이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다음 화면처럼 좀 멋없는 화면이 나오는데 여기서 자기가 사용하는 RSS 리더를 선택하면 RSS 목록이 추가됩니다. Google 리더 - Pageflakes - My Yahoo! - Netvibes, 이 네가지에만 추가되는 점 다시 한번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http://www.feeds.ramisp.org에는 View RSS Feed도 드래그해서 북마크에 옮겨 놓으라고 하지만 에러만 생기고 RSS를 읽지 못합니다.
그런데, 이것보다 더 좋은 방법이 있습니다. http://savanttools.com/feedhelp-bookmarklet.asp에 접속하면 아래와 같이 나오는데 여기서 Detect Feed라고 되어 있는 링크를 드래그해서 크롬의 북마크 툴바에 옮겨놓으면 똑같이 방식으로 버튼이 하나 생깁니다. 그다음, RSS피드가 있는 사이트에서 버튼을 클릭하면 이번에는 더많은 (9개) RSS 리더가 나옵니다. 여기에도 HanRSS는 없지만 iTunes와 Zune에서도 RSS를 받아볼수 있는 버튼이 생겼습니다. 이 방법은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해서 만든 것 같은데, 자바스크립트를 아시는 분들은 HanRSS를 만들수도 있을것 같네요. 능력되시는 분들은 한번 시도해 보셔도 좋을듯...
우선 구글 크롬을 실행시키고 http://www.feeds.ramisp.org에 접속합니다. 그러면 두가지 메뉴가 나오는데
그중에서 아래와 같이 오른쪽 Auto-Detect RSS를 드래그해서 크롬의 북마크 툴바에 옮겨 놓으면 버튼이 하나 생깁니다. RSS피드를 제공하는 사이트에서 이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다음 화면처럼 좀 멋없는 화면이 나오는데 여기서 자기가 사용하는 RSS 리더를 선택하면 RSS 목록이 추가됩니다. Google 리더 - Pageflakes - My Yahoo! - Netvibes, 이 네가지에만 추가되는 점 다시 한번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http://www.feeds.ramisp.org에는 View RSS Feed도 드래그해서 북마크에 옮겨 놓으라고 하지만 에러만 생기고 RSS를 읽지 못합니다.
그런데, 이것보다 더 좋은 방법이 있습니다. http://savanttools.com/feedhelp-bookmarklet.asp에 접속하면 아래와 같이 나오는데 여기서 Detect Feed라고 되어 있는 링크를 드래그해서 크롬의 북마크 툴바에 옮겨놓으면 똑같이 방식으로 버튼이 하나 생깁니다. 그다음, RSS피드가 있는 사이트에서 버튼을 클릭하면 이번에는 더많은 (9개) RSS 리더가 나옵니다. 여기에도 HanRSS는 없지만 iTunes와 Zune에서도 RSS를 받아볼수 있는 버튼이 생겼습니다. 이 방법은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해서 만든 것 같은데, 자바스크립트를 아시는 분들은 HanRSS를 만들수도 있을것 같네요. 능력되시는 분들은 한번 시도해 보셔도 좋을듯...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노트북 고객을 잡으려고 애쓰는 웹 클리핑 서비스들... (2) | 2009.01.22 |
---|---|
안드로이드 G2 사진 유출 (2) | 2009.01.22 |
야후, 외부 서비스 통합한 소셜 프로필 서비스 오픈 (0) | 2009.01.21 |
넷북, 윈도우 XP 생명을 2010년까지 늘려주다 (0) | 2009.01.21 |
마이크로소프트가 해결해야 할 난제들 (2) | 2009.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