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사이트의 페이지뷰를 제공해주는 서비스를 소개합니다. 자신의 블로그나 홈페이지의 방문자수를 알고 싶으면 Statbrain에 접속해서 URL을 입력해 보면 페이지뷰를 알려줍니다. Statbrain는 URL만 입력하면 해당사이트의 온라인 통계를 제공해 주는데, 알렉사 랭크와 구글이나 야후의 백링크등을 조합해서 페이지뷰를 알려준다고 합니다.
아주 정확한 수치를 알려주지는 않지만 어떤 사이트의 페이지뷰를 대략적으로나마 알고 싶을때는 유용할 것 같고, 온라인 광고관련 종사자가 어떤 웹사이트의 트래픽을 알거나 기업 홈페이지 담당자가 경쟁사의 웹사이트 트래픽을 알고 싶을때도 좋을 것 같습니다. 일단 제 블로그의 페이지뷰는 아래와 같습니다. 일 평균 875번의 페이지뷰를 기록하고 있는데 티스토리 방문자수 플러그인이 알려주는 수치보다 약간 더 많이 나왔네요.
일반적인 웹사이트의 페이지뷰는 구글 트렌드로 확인해도 되지만 구글 트렌드에서는 www.tistory.com의 결과는 제공해 주는데 logfile.tistory.com의 결과는 나오지 않습니다. 그리고, 구글 분석(google analytics)는 티스토리에서 제공해 주는 방문자수와 비교해 보니 수치가 많이 틀려서 어떤것이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Statbrain는 대략적인 방문횟수(visits)를 알려줄뿐 순방문자수(unique visitors)를 알려주지는 않는다고 하니 이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관련글(영문)을 참고하세요.
아주 정확한 수치를 알려주지는 않지만 어떤 사이트의 페이지뷰를 대략적으로나마 알고 싶을때는 유용할 것 같고, 온라인 광고관련 종사자가 어떤 웹사이트의 트래픽을 알거나 기업 홈페이지 담당자가 경쟁사의 웹사이트 트래픽을 알고 싶을때도 좋을 것 같습니다. 일단 제 블로그의 페이지뷰는 아래와 같습니다. 일 평균 875번의 페이지뷰를 기록하고 있는데 티스토리 방문자수 플러그인이 알려주는 수치보다 약간 더 많이 나왔네요.
일반적인 웹사이트의 페이지뷰는 구글 트렌드로 확인해도 되지만 구글 트렌드에서는 www.tistory.com의 결과는 제공해 주는데 logfile.tistory.com의 결과는 나오지 않습니다. 그리고, 구글 분석(google analytics)는 티스토리에서 제공해 주는 방문자수와 비교해 보니 수치가 많이 틀려서 어떤것이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Statbrain는 대략적인 방문횟수(visits)를 알려줄뿐 순방문자수(unique visitors)를 알려주지는 않는다고 하니 이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관련글(영문)을 참고하세요.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Newes 정리 - 11월 8일 (0) | 2008.11.09 |
---|---|
구글의 검색 실험 3가지 (0) | 2008.11.08 |
윈도우 7의 새로운 계산기 구경해 보세요 (0) | 2008.11.07 |
씨게이트 프리에이전트 고 이벤트 (0) | 2008.11.06 |
오바마 비디오 바이러스 (3) | 2008.11.06 |